티스토리 뷰

우선 일반 카메라 그리고 스마트폰 그리고 마지막으로 싸구려 비싼거 말고.. 20만원대 이하의 싸구려

천체망원경으로 촬영은 한다는것이 너무 신기하다.. 특히 싸구려 천체망원경의 경우 자동 이동 기능이

없는 그냥 길게 생간 하얗게 생긴 망원경... 

 

단지 이렇게 생긴 자동 이동 안됨 그림의 모델과 내가 말하는 모델이 다를수 있음.. 일반적인 20만원대 이하 제품은 거의 비슷한 이미지를 갖고 있음...

우선 외국인이 촬영한 영상중에 몇가지 캡쳐를 해봤다.

그냥 어둡다.. 스마트폰으로 위치를 확인하고 방향을 맞췄다고 한다.. 난 솔직히 이것도 궁금함~ 정말?? 되나?? ㅎㅎㅎ
두번째 캡처가 늦어서 그렇지만 그냥 뿌옇게 넙적한게 보이다 위의 그림처럼 고리와 원이 약간 떨어지게 보인다..
그리고 무지 흔들린다 상당히 흔들리다 갑자가 중심을 잡고 멈추고 찍은 사진이 아닌 영상이다... 정말 어떻게 이게 될까?? 너무 신기함..              개인적으로 너무 흔들려서 어디에 고정하려다 보면 내가 했을때는 토성이 사라진다..다시 잡아야 되는데.. 이건 정말 어떻게 딱! 잡는지..완전 신기    그리고 난 토성인지도 모르고 그냥 뭔가 잡았다가 너무 흔들려 고정하다 사라졌다는게 맞는 말일듯 하다...
그리고 완전 고정과 보정을 하게 되면 위와 같은 그림을 보이게 된다.. 정말 신기해~~ 개인적으로 목성을 좋아하는데 목성을 이렇게 찍고싶은 마음 그리고 실시간으로 계속 보고싶은 생각이 든다.. 하지만.. 전혀 이정도도 안된다는.. 이건 전문가가 찍은 사진이 아니다.. 외국애들은 정말 신기하다.....어떻게 하면 이렇게 잘찍는것일까?? 국내도 있다고?? 어떤 영상보니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람도 있긴함... 하지만 찾기 너무 힘듬.. 외국에 영상을     찾다 보면 완전 많음... 이게 환경? 차이인가?? 생각차이인가?? 아님 장비에 대한 지식???? 같은 값인데... 나는?? ㅋㅋㅋㅋ

댓글